[Algorithm] 9장 알고리즘 복잡도
알고리즘 복잡도
- 시간 복잡도 - 알고리즘 실행 속도
- 공간 복잡도 - 알고리즘이 사용하는 메모리 사이즈
알고리즘 복잡도 계산이 왜 필요할까?
하나의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은 다양할 수 있다.
예를들어 정수의 절대값을 구한다고하자. 두가지 정도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.
- 정수값을 제곱한 값에 다시 루트를 씌운다.
- 정수가 음수인지 확인한뒤, 음수을 경우만 -1을 곱한다.
이렇게 다양한 알고리즘중 어느 알고리즘이 더 효율적인지 찾기위해 복잡도를 정의하고 계산한다.
가장 중요한 시간 복잡도를 의해하고 계산할 수 있어야한다.
시간 복잡도의 요소
알고리즘를 이루는 여러 요소들이 있다.(변수, 조건, 반복) 그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건 반복문이다.
예를들어 차를타고 서울에서 부산을 간다고 생각을 해보자. 출발해서 도착할때까지의 행동중 가장 총 시간에 영향을 끼지는 요소는 어떤것일까
- 자동차 문열기
- 자동차 문닫기
- 자동차 시트 조정
- 자동차 시동걸기
- 자동차로 서울에서 부산가기
- 자동차 시동끄기
- 자동차 문열기
- 자동차 문닫기
다른 요소들을 다합쳐서 몇분도 안되겠지만 서울에서 부산가는 요소는 몇시간이나 걸릴것이다. 총 걸리는 시간에 중요한 비중을 가진것이다.
마찬가지로 반복문이 시간 복잡도에 가장 영향을 미친다.
입력의 크기가 커지면 반복문이 알고리즘 수행 시간을 지배한다.
알고리즘 성능 표기법
- Big O (빅-오) 표기법: O(N)
- 알고리즘 최악의 실행 시간을 표기
- 가장 많이/일반적으로 사용 - 아무리 최악의 상황이라도, 이정도의 성능은 보장한다는 의미이기 때문
- Ω (오메가) 표기법: Ω(N)
- 오메가 표기법은 알고리즘 최상의 실행 시간을 표기
- Θ (세타) 표기법: Θ(N)
- 오메가 표기법은 알고리즘 평균 실행 시간을 표기
Big O 표기법
- O(입력)
- 입력 n 에 따라 결정되는 시간 복잡도 함수
- O(1), O(log n), O(n), O(nlog n), O(n^2), O(2^n), O(n!)등으로 표기한다.
- 입력 n 의 크기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시간 복잡도가 늘어날 수 있다.
- O(1) < O(log n) < O(n) < O(nlog n) < O(n^2) < O(2^n) < O(n!)
- 입력 n에따라 몇번 실행되는지를 계산하면 된다.
- 표현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n 의 단위로 표기한다.
-
n이 1이든 100이든, 1000이든, 10000이든 실행을 무조건 상수회 실행한다: O(1)
//O(10) if (n > 10) { //10번 반복 System.out.println(n); }
-
n에 따라, n번, n + 10 번, 또는 3n + 10 번등 실행한다: O(n)
//3*n = 3n -> O(n) 상수3은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. for (int num = 0; num < 3; num++) { //3번 반복 for (int index = 0; index < n; index++) { // n번 반복 System.out.println(index) } }
-
n에 따라, n^2번, n^2 + 1000 번, 100n^2 - 100, 또는 300n^2 + 1번등 실행한다: O(n^2)
//3*n*n = 3n^2 -> O(n^2) 상수3은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. for (int i = 0; i < 3; i++) { //3번 반복 for (int num = 0; num < n; num++) { //n번 반복 for (int index = 0; index < n; index++) {//n번 반복 System.out.println(index) } } }
시간 복잡도 구하기
1부터 n까지의 합을 구하는 알고리즘
알고리즘 1
- 합을 기록할 변수를 만들고 0을 저장
- n을 1부터 1씩 증가하면서 반복
- 반복문 안에서 합을 기록할 변수에 1씩 증가된 값을 더함
- 반복이 끝나면 합을 출력
public class Main {
public int sum(int n) {
int total = 0;
for (int i = 1; i <= n; i++) {
total += i;
}
return total;
}
}
입력 n에 따라 덧셈을 n 번 해야 함 (반복문)
시간 복잡도: n, 빅 오 표기법으로는 O(n)
알고리즘2
- $n(n+1)/2$
public class Main {
public int sum(int n) {
return n * (n + 1) / 2;
}
}
입력 n이 어떻든 간에, 곱셈/덧셈/나눗셈 하면 된다. (반복문이 없다.)
시간 복잡도: 1, 빅 오 표기법으로는 O(1)
평가
- 알고리즘1 vs 알고리즘2
- O(n) vs O(1)
이와 같이, 동일한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은 다양할 수 있다.
어느 알고리즘이 보다 좋은지를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, 빅 오 표기법등의 시간복잡도 계산법을 사용한다.
공간 복잡도(Space Complexity)
좋은 알고리즘은 실행 시간이 짧고, 저장 공간도 적게 쓰는 알고리즘이다. 하지만 둘다 만족시키기는 어렵다.
- 시간과 공간은 반비례적 경향이 있다.
- 최근 대용량 시스템이 보편화되면서, 공간 복잡도보다는 시간 복잡도가 우선시된다.
그래도 공간 복잡도의 대략적인 계산은 필요하다.
- 알고리즘 문제는 예전에 공간 복잡도도 고려되어야할 때 만들어진 경우가 많다.
- 알고리즘 문제에 시간 복잡도뿐만 아니라, 공간 복잡도 제약 사항이 있는 경우가 있다.
공간 복잡도란
프로그램을 실행 및 완료하는데 필요한 저장공간의 양을 뜻한다.
- 총 필요 저장 공간
- 고정 공간 (알고리즘과 무관한 공간): 코드 저장 공간, 단순 변수 및 상수
- 가변 공간 (알고리즘 실행과 관련있는 공간): 실행 중 동적으로 필요한 공간
- S(P) = c + Sp(n)
- c : 고정 공간
- Sp(n) : 가변 공간
빅 오 표기법을 생각해볼 때, 고정 공간은 상수이므로 공간 복잡도는 가변 공간에 좌우 된다.
공간 복잡도 구하기
공간 복잡도 계산은 알고리즘에서 실제 사용되는 저장 공간을 계산하면 된다.(이를 빅 오 표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으면된다.)
n! 팩토리얼을 구해본다. (n! = 1 x 2 x … x n)
알고리즘 1
public class Factorial {
public int factorialFunc(int n) {
int fac = 1;
for (int index = 2; index < n + 1; index++) {
fac = fac * index;
}
return fac;
}
}
n의 값에 상관없이 변수 n, 변수 fac, 변수 index 만 필요하다.
공간 복잡도는 O(1)이다.
알고리즘 2
public class Factorial {
public int factorialFunc(int n) {
if (n > 1) {
return n * factorialFunc(n - 1);
} else {
return 1;
}
}
}
재귀함수를 사용하였으므로, n에 따라, 변수 n이 n개가 만들어지게 된다.
factorial 함수를 재귀 함수로 1까지 호출하였을 경우, n부터 1까지 스택에 쌓이게 되고
공간 복잡도는 O(n)이다.